서울교통공사는 한국전력공사(한전)의 전기요금 인상으로 서울지하철 1~8호선 및 9호선 2·3단계를 운영하는 공사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공사는 일평균 700만명 이상의 승객을 수송하며 서울시 전체 전기사용량의 2.92%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공공기관으로 전기요금 인상의 부담이 크다.
공사는 올해 한전에 납부할 전기요금이 2023년에는 2022년 대비 502억 원(26.7%), 2021년 대비 650억 원(37.5%)이 증가한 2,385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22년 전기요금은 2021년 대비 148억 원(8.5%) 증가한 1,883억 원이었다.
2022년 4월 이후 한전에서는 kWh당 요금단가와 전기요금에 포함되는 기후환경요금, 연료비조정요금을 상향 조정하여 kWh당 총 44.9원의 전기요금을 인상했다. 전기요금 인상으로 2023년에는 전년 대비 502억 원 증가가 예상된다. 또한 전기요금 10원 추가 인상 시 50억 원 부담이 더해질 전망이다.
2022년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1~8호선 운수수입금 금액은 약 1조 3,000여억 원으로, 이중 전기요금(약 1,900여억 원)이 차지하는 비율은 14.6%이다.
공사는 전기요금 인상에 대비하여 고효율 전동차 도입, 냉방기 효율적 운용 등 전사적 에너지절약 운동을 펼쳐왔다. 그 결과, 올해 1월~8월 전기사용량을 전년 동월 대비 6,267MWh(0.72%, 11.2억 원)을 절감했다. 하지만 공사가 부담해야 할 전기요금은 전년 동월 대비 289억 원(28.28%) 증가했다.
더 이상 에너지절약 활동을 강화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코로나19 종식에 따라 2023년 1~8월 수송 인원이 전년 대비 12.8%(182백만명) 증가했으며, 승강설비 등 각종 편의시설 증가로 인해 전기사용량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한전은 2012년 철도운영기관 요금제를 비교적 저렴한 산업용(갑)에서 산업용(을)로 변경하였다. 철도운영기관의 어려움을 고려해 2017년까지 전기요금 할인 혜택을 제공해주었지만, 현재는 만료된 상태로 철도운영기관인 공사는 비싸진 요금을 그대로 부담하고 있다.
전기요금은 요금대로 인상되고, 요금제마저 비싼 요금제로 전환되어 공사의 지하철 운임 인상만으로는 쌓인 부담을 해소하기는 어렵다.
지난 7일부터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이 150원 오른 1,400원으로 인상됐다. 지하철 요금이 오른 건 8년 만이다. 8년간 동결된 요금으로 인해 운송적자부담이 쌓여 자체적인 노력만으로는 부담을 해소하는 데 한계가 있다.
실제로 한전에서는 초중고 및 유치원(6%), 도축장(20%), 천일염·미곡종합처리장(20%)과 같은 공공서비스 업종에 전기요금 할인을 제공하고 있다. 필수적인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철도운영기관에게도 요금 할인을 적용해준다면 공사 역시 전기요금 부담을 덜 수 있다.
양질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한전의 철도운영기관 전용 요금제도의 도입이나 할인 혜택 제공 등이 절실하다는 게 공사의 입장이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지난 8년간 동결된 지하철 요금으로 인해 열악한 재정 여건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전기요금 인상으로 공사의 재정부담은 가중되고 있으며 지하철 요금 인상의 효과는 전기요금 인상에 묻히고 있는 실정이다”며 “필수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철도운영기관 전용 요금제의 도입이나 혜택 제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