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투데이=김남주 기자]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수출규제에서 시작된 한일간 경제전쟁이 이젠 금융권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22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은 대규모 일본돈 엑소더스에 대비해 다양한 대비책을 강구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대응책을 들여다보면 일본 투자자들이 국내 은행과 카드사에 빌려준 채무 상환의 만기 연장을 거부하거나 신규 대출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고 보고 대비 방안을 준비하는 것이다.
금융권 추계에 따르면 한국에 들어온 일본계 자금 규모는 최대 52조9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 가운데 국내 은행과 카드사가 조달한 일본계 외화차입금은 지난 6월말 기준 20조2000억원에 달한다. 여기에 일본 투자자가 보유한 국내 주식이 13조원, 채권 1조6000억원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말 기준 국제투자대조표 기타투자 중 일본의 투자액 13조 6000억원, 5월 말 기준 일본계 은행 국내지점의 총여신 24조7000억원도 일본계 자금으로 분류된다.
금융당국은 이번 일본 경제보복 조치가 시작된 이래 은행과 카드사들이 조달한 20조2000억원 상당의 자금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 은행과 카드사들은 낮은 금리로 일본 자금을 빌려 대출 등 영업 재원으로 활용해왔다. 은행이 이런 자금 10조6000억원을, 카드사들은 9조5000억원 상당을 들여왔다.
은행과 카드사는 기업이나 가계에 자금을 배분하는 금융의 근간이다. 이들이 조달한 자금은 일본이 금융 분야로 보복을 확대할 경우 창구로 활용될 수 있는 분야라고 판단하고 있다.
일본계 금융사가 신규 대출과 만기 연장을 거부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은행들과 일본 수출규제 관련 금융 부문 점검 태스크포스를 운영 중이다. 이를 통해 일본계로부터 조달한 대출과 외화채권 만기도래 현황을 일일이 체크하고 있다.
현재로선 다행히 금융당국과 은행들의 최근 자금 상황 모니터링 결과를 보면 자금 회수 동향 등 특이점이 감지되지 않고 있지만 만약의 경우를 대비한 컨틴전시 플랜을 보완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이와 함께 당국은 일본의 수출규제가 실행돼 국내 기업이 피해를 보는 경우 이들 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 방안도 마련해 놓고 있다. 대출이나 보증 등 형태로 긴급 유동성을 공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