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투데이=김남주 기자] 금융당국은 기업구조와 관련, 현행 채권은행이 주도하는 방식에서 자본시장에 맡기는 형태로 변경해 나갈 방침이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26일 부산국제금융센터에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주최 ‘자본시장을 통한 기업구조 혁신방향 토론회’에 참석해 “기업 구조조정의 무게추를 채권은행에서 자본시장으로 옮길 수 있도록 정책금융이 시장에 후속 투자를 견인하는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최 위원장은 “자발적이고 성공적인 구조조정은 결국 투자자, 해당 기업, 산업생태계 내 원청·하청업체 간 상호 신뢰가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금융위는 연내 애초 목표로 한 1조원 규모 기업구조혁신펀드 조성을 마무리 지으면 민간 참여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기업구조혁신펀드 조성에 대해 실무책임자인 이세훈 금융위 금융정책국장은 전날 “민간의 참여를 전제로 해 시기를 못 박을 순 없지만 내부적으로 2~3년 내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업구조혁신펀드는 현 정부가 추진하는 상시적 구조조정 활성화를 위해 지난 2017년 12월 출범했다. 모험자본을 구조조정 시장에 공급해 혁신성장을 유도하고 펀드운용으로 생산과 취업 유발효과를 볼 수 있다는 기대에서다.
금융당국은 한국형 기업 구조조정 시장을 열겠다는 뜻도 분명히 밝혔다. 국내에 익숙한 채권은행 중심 구조조정은 재무구조 개선에만 치우쳐 사업구조 개선은 미흡했다는 반성에서 비롯했다.
이에 산업별로 전문 운용인력과 전문 경영인 채용시장이 형성된 미국을 참고모델로 제시하며 관련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우선 연합자산관리(유암코)는 트랙 레코드가 부족한 운용사와 공동운용을 통해 구조조정 시장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데 힘을 쏟기로 했다.
캠코 역시 경영정상화 사모펀드(PEF) 유한책임사원(LP)으로 나선다는 계획이다. 경영정상화에 대한 투자는 리스크가 크고 장기간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캠코는 회생절차가 진행 중이거나 회생절차 졸업 이후 신규자금 조달과 보증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도 직간접 지원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