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영자총협회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 수가 100만 명에 육박하며, 200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관악구, 민생경제 회복과 지역 상권 활성화 위한 소상공인 지원에 팔 걷었다
고금리로 인한 채무부담 증가, 소비자 선호 구매방식의 변화, 내수회복 지연, 지속적인 경기침체 등 여느 때보다 소상공인들이 힘든 시기이다.
이에 관악구(구청장 박준희)가 민생경제 회복과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한 `2025년도 소상공인 지원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본격 추진한다.
구는 올해 소상공인 경쟁력에 기반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3개 핵심전략(▲중·소상공인 경영안정 지원 ▲골목상권 경쟁력 강화 ▲지역경제 소비 촉진) 16개 사업에 총 108억 원을 투입한다.
우선, 중·소상공인 경영 안정을 위해 50억원 규모의 `중소기업육성기금 융자` 사업을 확대 실시하고, `소상공인 냉난방기 클린케어 지원`과 `해외시장 판로개척 지원사업`을 신규 추진한다.
골목상권 육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책도 펼친다.
점포 콘텐츠 발굴과 환경 개선으로 소상공인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는 `관악형 아트테리어 사업`은 올해 440개소로 확대 지원하고, 상권을 견인하는 유망점포를 발굴하는 `핵심점포 발굴·육성 사업`은 관악구 전체 골목상권을 대상으로 확대 지원할 예정이다.
최근 스마트스토어, SNS 등 다양한 온라인 판로가 개척되고, 소비방식의 변화 등 상거래 환경 변화에 대응해 소상공인 온라인 역량 강화를 위해 `온라인 마케팅 홍보지원` 사업도 올해 총 30개 점포를 대상으로 지원한다.
아울러 지난해 구는 서울시 공모사업인 `샤로수길 로컬브랜드 상권 육성사업`에 선정돼, 2026년까지 3년간 30억 원 지원받게 됐다.
올해 2년 차를 맞아 총 10억 원을 투입해 샤로수길 상권에 특색있는 로컬 콘텐츠를 개발·운영하고, 체류 환경 향상을 위한 상권 공간을 개선하는 등 상권의 자생력 확보를 목표로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지역경제 소비 촉진을 위해 `관악사랑상품권` 총 400억 원을 확대 발행하며, 올 초 200억 원을 먼저 발행하고 사용금액의 5%를 돌려주는 페이백 이벤트를 추진해 주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특히, 관악구는 1인 청년가구가 많아 배달 수요가 높다는 점을 고려해 `관악땡겨요(공공배달앱) 전용상품권`을 총 10억 원 규모로 발행하며, 올 초 5억 원을 먼저 발행해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상권 내 축제도 확대한다. 지난해 골목상권 브랜드 인지도 제고와 고객 유입 콘텐츠 발굴을 위해 4개 동에서 `골목상권 활성화 축제`를 개최했는데, 2만여 명이 방문해 성황리에 개최된 바 있다.
올해는 `골목상권 활성화 축제`를 총 6개 상권으로 확대 개최해, 다양한 콘텐츠와 즐거움으로 지역을 대표하는 상권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계획이다.
박준희 구청장은 "최근 어려운 대내외적인 경제 환경에 대응해 소상공인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정책을 펼쳐 소상공인의 경영안정과 지역경제 활성화 총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