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구가 돌봄센터 구축 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을 밝혔다. 특이하게도 작은도서관·마을활력소 등 주민커뮤니티 공간을 활용하는 사업이기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구로형 온종일 돌봄센터 참여기관인 따뜻한마음작도서관에서 요리를 체험하는 아이들. 사진제공=구로구
'나홀로집에'같은 영화가 보여주듯, 맞벌이부부가 많은 요즘 시대에 부모들이 가장 걱정하는 것은 안전과 보호에서 소외되는 어린 아이들이다. 이런 아이들은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구로구는 이런 '초등돌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이번 사업을 실시할 것이라고 전했다. 주거지에서 가까운 동시에 주민들이 많이 모이는 공간에서 학부모와 주민들이 직접 아이들을 돌볼 수 있도록 하겠다는 아이디어다.
돌봄센터는 20명 내외의 아이들을 돌봐줄 예정이다. 시간은 방과 후인 오후 1시부터 저녁7시까지다. 각 기관별로 독서지도·체험교육·신체활동·모둠놀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될 예정이다. 학원 챙겨보내기나 숙제 봐주기와 같이 어른의 손길이 필요한 부분을 도와주기도 하고 간식도 제공한다.
또한 구로구는 같은 마을 주민들, 이웃들이 함께 아이들을 돌본다는 사업 취지에 맞게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활동을 병행할 계획이다. 동네에 있는 작은 공방을 찾아 만들기 체험을 하거나 가까운 지구대·주민센터를 방문해 공공기관의 역할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도 나눌 예정이다.
지난달까지 시범운영을 실시했던 구로는 구로구는 이달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했다. 공모를 통해 9개 뿐이었던 참여기관을 24개소로 확대했다. 또한 주말과 공휴일에 운영하는 시설도 한 곳 마련했다. 구로구는 참여기관을 현 24개소에서 2022년까지 50개소로 확장할 방침이다.
구로구 관계자는 “아이들이 마을 안에서 밝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이번 사업의 궁극적인 목표다”며 “아이들이 행복하고 학부모가 안심할 수 있는 촘촘한 돌봄체계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