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과 지역센터 아동(18세 미만)의 구강관리를 해주는 ‘학생·아동 치과주치의’ 사업을 올해는 초등 1학년 학생, 특수학교·장애인 복지시설 아동까지 대폭 확대 실시한다고 22일 밝혔다.
서울시는 ‘학생·아동 치과주치의’ 사업을 올해는 초등 1학년 학생, 특수학교·장애인 복지시설 아동까지 대폭 확대 실시한다.(사진=서울시)
시 ‘학생‧아동 치과주치의’는 포괄적 구강관리서비스 선도 모델이다. 시는 지난 2012년 단순한 구강검진에서 벗어나 치과주치의를 도입했다.
이는 유치의 혼합치열이 종료되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 취약계층 아동 대상으로 시와 협업하는 치과병‧의원을 방문하면 구강검진부터 교육, 진료까지 체계적인 구강관리서비스를 실시하는 것이었다.
그간 치과주치의를 통해 초등 4학년 학생 16만여명이 포괄적 구강관리서비스(검진‧구강환경 관리능력검사, 전문가 구강위생관리, 구강교육, 불소도포, 치아홈메우기, 치석제거)를 받았으며, 지역아동센터 이용자 8만여 명은 예방중심 포괄적 구강관리 후 구강질환 치료를 지원받았다.
지난해 시는 학생‧아동 치과주치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25개 전 자치구에서 총 사업비의 20% 예산을 확보, 사업의 지속성을 더욱 높였다.
올해는 학생, 장애인의 구강건강권 보장을 위해 치과주치의 대상자를 현재 4학년, 지역아동센터 아동에서→ 초등학교 1학년, 특수학교·장애인복지시설 이용자까지 확대해 추진한다.
대상 학생 확대는 ‘계속구강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 6개구(종로, 동대문, 강북, 도봉, 서대문, 동작구)에서 초등 1학년 학생 대상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영구치 어금니 보호를 위한 치아홈메우기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초등 1학년 치아홈메우기 지원 대상은 만6세경에 맹출하는 첫 번째 영구치 큰어금니(제1대구치)에 충치가 생기지 않은 학생으로, 1인당 총 4개 시술이 가능하며 비용은 서울시에서 전액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