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9년여의 준비 끝에 세상에 없던 새로운 형태의 공공도서관 ‘경기도서관’을 오는 25일 문 연다. 경기도서관은 책을 단순히 읽는 공간을 넘어 도민이 함께 배우고, 만들고, 체험하며 성장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으로 설계됐다.
경기도서관 전경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022년 착공식에서 “단순히 와서 책 읽는 장소가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신의 미래와 우리 사회의 미래를 연결하는 역할을 해내길 바란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 같은 철학은 ‘도전과 성장, 지속가능한 가치’를 추구하는 경기도서관의 운영 방향에 그대로 반영됐다.
총사업비 1,227억 원이 투입된 경기도서관은 연면적 2만7,795㎡(지상 5층·지하 4층) 규모로 전국 최대 공공도서관이다. 장서는 도서 14만8,181권, 전자책 19만6,035권 등 34만여 권이며, 향후 5년 내 최대 55만 권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지하 1층부터 5층까지는 ‘창의-연결-포용-지혜-지속가능-성장’ 6대 키워드를 중심으로 구성됐다.
지하 1층 ‘창의의 공간’에는 챗GPT 등 8종의 생성형 AI와 포토샵 등을 활용할 수 있는 ‘AI스튜디오’가 들어섰다. 인공지능과 함께 독서토론을 즐기는 ‘AI독서토론실’, 자신만의 책을 제작할 수 있는 ‘책공방’, 공연과 강연이 가능한 ‘플래닛 경기홀’도 마련됐다.
1층은 ‘연결의 공간’으로, 기후위기 인식 확산을 위한 전시와 문학도서 북라운지, 청년 창업을 지원하는 스타트업 카페가 자리한다. 2층 ‘포용의 공간’은 어린이·청소년·다문화가정이 함께 즐기는 열린 공간으로, 가족의 목소리로 책을 읽어주는 ‘AI 읽어주기 서비스’와 콘솔게임존이 특징이다.
3층과 4층은 경기도 지식정보의 중심 ‘지혜’와 ‘지속가능의 공간’으로, 사회과학·역사·인문학 서적과 함께 기후환경 전문 코너 ‘지구를 지키는 책들’, 업사이클 체험이 가능한 ‘기후환경공방’이 운영된다. 5층 ‘성장의 공간’은 청년 창작자들을 위한 ‘청년기회스튜디오’와 아동 심리 기반의 ‘AI 북테라피’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경기도서관은 기후 도서관으로서의 정체성도 뚜렷하다. 태양광과 지열을 활용한 에너지 효율 1++ 등급 건물로, 수직루버를 통한 자연채광 조절, 공기정화 식물 ‘스칸디아모스’ 설치 등 친환경 설계를 적용했다.
운영시간은 월~금 오전 10시부터 밤 9시까지, 토·일요일은 오후 6시까지이며, 연말까지 시범운영 후 도민 의견을 반영해 최종 운영시간을 확정할 예정이다.
개관을 기념해 23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기후위기·AI 시대의 도서관’을 주제로 국제콘퍼런스가 열린다. 25일에는 ‘사람과 책, 그 사이 경기도서관’ 개관식과 박위 작가의 북토크가 진행되며, 같은 날 도담뜰에서는 ‘경기다독다독축제’가 펼쳐진다.
또한 10월 25일부터 12월 14일까지는 지하 1층 전시공간에서 기후환경과 생태를 주제로 한 ‘깃털과 이끼’ 그림책 원화전이 열려 도민들의 감성을 자극할 예정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경기도서관은 단순한 도서관이 아닌, 도민이 배우고 나누며 함께 성장하는 ‘미래형 공공 플랫폼’”이라며 “지속가능한 가치와 창의적 도전이 공존하는 새로운 문화 거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