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그룹, 2025년 3분기 경영 실적 발표
우리금융그룹(회장 임종룡)이 29일 기업설명회(IR)를 통해 2025년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한 2조7964억원을 시현했다고 밝혔다. 최근 환율 및 관세 협상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견조한 순영업수익 성장과 보험사 인수 효과가 맞물리며 실적 성장을 이끌었다. 이에 따라 그룹 ROE는 10.87%(경상 기준 10.09%)로 전 분기 대비 1.74%p 상승하며 수익성이 한층 개선됐다. 3분기 순이익은 1조2444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33% 증가했다. 자산 리밸런싱과 조달 비용 효율화로
SK하이닉스는 29일 2025년 3분기 경영실적 발표를 통해 매출 24조 4,489억 원, 영업이익 11조 3,834억 원, 순이익 12조 5,975억 원을 기록하며 HBM과 고성능 서버용 메모리 수요 증가에 힘입어 창사 이래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 2025년 3분기 경영실적 발표SK하이닉스는 올해 3분기 D램과 낸드 가격 상승세가 본격화되고 AI 서버용 고성능 제품 출하가 확대되면서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영업이익은 사상 처음으로 10조 원을 넘어섰으며, 영업이익률 47%, 순이익률 52%를 각각 기록했다.
회사는 “AI 인프라 확대로 메모리 전반의 수요가 급증했다”며 “HBM3E 12단, DDR5 등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확대를 통해 지난 분기에 이어 또다시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128GB 이상 고용량 DDR5 출하량이 전 분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으며, 낸드 부문에서도 AI 서버향 eSSD의 비중이 크게 늘었다고 덧붙였다.
호실적에 힘입어 3분기 말 현금성 자산은 전 분기보다 10조 9천억 원 늘어난 27조 9천억 원을 기록했다. 반면 차입금은 24조 1천억 원으로 감소해 회사는 3조 8천억 원 규모의 순현금 체제로 전환했다.
2025년 3분기 경영실적 비교표 (K-IFRS 기준)
SK하이닉스는 AI 시장이 ‘학습’ 중심에서 ‘추론’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서버 전반의 메모리 수요가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AI 기업들의 데이터센터 확충과 파트너십 체결이 잇따르면서 HBM을 비롯한 일반 서버용 메모리까지 수요가 폭넓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회사는 최선단 10나노급 6세대(1c) 공정 전환을 가속화하고, 서버·모바일·그래픽 등 전 제품군에서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낸드 부문에서도 세계 최고층 321단 기반의 TLC·QLC 제품 공급을 늘려 고객 요구에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다.
SK하이닉스는 주요 고객사들과 내년 HBM 공급 협의를 마쳤으며, 지난 9월 개발을 완료한 HBM4를 4분기부터 출하해 내년 본격적인 판매에 나선다. 회사는 “HBM4는 고객의 요구 성능을 모두 충족하며 업계 최고 속도를 지원할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또한 급증하는 AI 메모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청주 M15X 클린룸을 조기 오픈하고 장비 반입을 시작했으며, 선단 공정 전환 속도를 높이고 신규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내년 투자 규모는 올해보다 확대될 전망이다.
김우현 SK하이닉스 CFO는 “AI 기술 혁신으로 메모리 시장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고 있다”며 “시장 선도 제품과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AI 메모리 리더십을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