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오는 13일(목) 치러지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당일, 수험생들의 안전하고 신속한 이동을 위해 지하철 증회, 버스 집중 배차, 비상수송차량 무료 지원 등 전방위 교통대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오는 13일(목) 치러지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당일, 수험생들의 안전하고 신속한 이동을 위해 지하철 증회, 버스 집중 배차, 비상수송차량 무료 지원 등 전방위 교통대책을 시행한다.
올해 서울 지역에서는 228개 시험장에서 11만4,158명이 수능을 치를 예정으로, 입실 시간은 오전 6시 30분부터 8시 10분까지다. 시는 교통 혼잡으로 인한 지각을 막기 위해 시청과 자치구, 공공기관의 출근시간을 평소보다 1시간 늦춘 오전 10시로 조정했다.
서울교통공사는 수험생 이동이 집중되는 오전 6시부터 10시 사이 지하철 운행 횟수를 평소보다 29회 늘리고, 고장 등 돌발 상황에 대비해 예비 열차 16편성을 대기시킨다. 특히 2호선은 5회, 5호선은 4회, 7호선은 4회, 신림선은 2회 증회 운행하며, 9호선은 최대 편성으로 운영하고 비상열차를 투입한다.
시내·마을버스는 수험생의 이동 시간대(오전 6시~8시 10분)와 시험 종료 후 귀가 시간대(오후 6시~9시)에 집중 배차를 실시한다. 다만 일일 운행 횟수는 동일하므로 비혼잡 시간대에는 평소보다 배차 간격이 다소 길어질 수 있다.
지하철 역사와 버스정류소에서는 안내 인력을 배치해 수험생의 이동을 지원한다. 역사에는 시험장 안내문과 방송을 실시하고, 버스 운전원은 시험장행 표지를 부착한 뒤 하차 시 육성 안내를 제공한다.
서울시 25개 자치구는 ‘수험생 수송지원차량’ 646대를 주요 교차로, 지하철역, 버스정류소에 대기시켜 지각이 우려되는 수험생을 시험장까지 무료로 수송할 예정이다. 자치구 공무원과 민간 봉사자 약 2,200명이 경찰과 함께 시험장 주변 교통정리와 탑승 지원을 돕는다.
장애 수험생을 위한 이동 지원도 강화된다. 서울시설공단은 ‘서울장애인콜택시’ 등록 수험생을 대상으로 시험장까지 편안히 이동할 수 있도록 우선 배차하고, 시험 후 귀가 서비스도 제공한다. 사전 예약은 11월 4일부터 고객센터(1588-4388, 02-2024-4200)를 통해 가능하다.
서울시는 시험장 주변 정숙한 환경 조성을 위해 소음 유발 공사와 점검을 일시 중단하고, 버스·택시 운전원에게 경적 사용, 급가속·급정지 등을 자제하도록 요청했다. 시험장 반경 2km 이내의 불법 주정차 차량은 집중 단속하며, 시험장 200m 전방 도로는 대중교통 외 차량의 진출입을 통제한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수험생들이 차질 없이 시험에 임할 수 있도록 모든 교통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시민들도 출근시간 조정, 대중교통 이용, 정숙한 응원으로 수험생을 배려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