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옛 안산 시화쓰레기매립지(45만㎡)를 생태·문화·교육이 결합된 지방정원 ‘새로숲’으로 조성하는 사업을 17일 착공하며, 2027년 전면 개원을 목표로 본격적인 녹색 전환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경기지방정원 조감도
경기도는 17일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서 ‘경기지방정원 조성공사’ 착공식을 열고 새 이름 ‘새로숲’을 공식 발표했다.
‘새로운 숲, 다시 태어나는 자연’이라는 뜻을 담은 새로숲은 과거 쓰레기와 오염의 공간이었던 시화매립지를 생태문화의 중심지로 되살리겠다는 의지를 상징한다. 매립지는 1987년부터 1992년까지 8개 시군의 생활폐기물이 매립되던 장소로, 1994년 매립이 종료된 뒤 2016년까지 사후관리를 마치고 폐쇄된 상태였다.
도는 총 989억 원을 투입해 부지 45만㎡를 경기도 대표 정원으로 조성한다. 2021년부터 행정절차 및 설계를 진행해 이날 착공에 들어갔으며, 2026년 4월 정원 일부(18만㎡)와 안산갈대습지(40만㎡)를 연계한 1단계 개방 후, 2027년 전체 개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원지원센터와 방문자센터를 비롯해 맞이정원, 감상정원, 기후정원, 참여정원 등 다양한 공간이 마련되며, 단순 관람형을 넘어 교육·체험·휴식이 가능한 복합정원으로 운영된다.
‘새로숲’은 지역 농장, 정원 전문가, 시민정원사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참여형 정원 플랫폼’으로 구현될 예정이다. 도는 정원 조성과 더불어 안산갈대습지, 화성비봉습지 등 인근 생태자원과 연계해 정원-습지-수변을 잇는 생태벨트를 구축함으로써 경기도 남부권의 생물다양성 중심축이자 친환경 관광 자원으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장기적으로는 교육프로그램, 생태 투어, 정원산업 박람회 등을 연계해 정원문화의 거점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이날 착공식에는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를 비롯해 안산시 관계자, 도·시의원, 시민정원사, 도민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구근식물 식재 체험에 참여하며 새로숲 조성의 출발을 함께했다. 행사 과정에서 발생한 탄소량 3톤은 산림탄소센터를 통해 흡수량을 구입해 탄소중립 행사로 인증받았다. 이는 축구장 한 개 면적의 중부지방 10년생 소나무 숲이 1년간 흡수하는 탄소량에 해당한다.
고영인 경제부지사는 “‘새로숲’은 쓰레기매립지라는 과거의 오명을 벗고 기후위기 시대에 도민과 자연이 함께 회복하는 공간으로 재탄생할 것”이라며 “경기도의 녹색 약속을 상징하는 장소가 되도록 도민 모두가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정원을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