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펀드 환매 중단 사태로 선의의 투자자에게 큰 실망을 안겨준 라임자산운용이 22일 보도자료를 통해 자사의 펀드 현황과 진행 상황을 설명했다.
라임운용은 보도자료에서 “환매 연기된 라임자산운용의 펀드는 대부분 FOF(펀드오브펀드) 구조로 되어 있어 수탁고 및 펀드 금액에 대한 오해가 많은 것 같다”고 서문을 열었다.
이어 라임은 “고객들은 자펀드에 투자하고 자펀드가 다시 모펀드(플루토 FI D-1호, 테티스 2호, 플루토 TF 등)에 투자되는데 이 같은 재간접 구조에서도 판매사를 통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규모 펀드 환매 중단 사태로 선의의 투자자에게 큰 실망을 안겨준 라임자산운용이 22일 보도자료를 통해 자사의 펀드 현황과 진행 상황을 설명했다.(사진=라임자산운용)
이에 따라 “일부 기사에서 특정 판매사의 기관 자금 판매액이 8000억에 달한다는 내용은 재간접형태로 모펀드에 가입한 금액이라고 이해하면 되는데, 현재 저희 수탁고 약 4조3000억원 가운데 재간접형태로 투자된 금액이 약 1조8000억원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결론적으로 “고객이 직접 가입한 펀드 기준, 환매 연기 금액은 약 1조7000억원 대비 커질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밝혔다.
또 “환매 연기 금액과 손실 금액은 명확히 다르다”며 “다만 해당 펀드의 만기 시점에 따라 고객 통지 시점은 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