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휴관중이던 경로당, 노인복지관 등 사회복지시설 1만1258곳을 20일부터 다시 운영한다. (서남투데이 자료사진)[서남투데이=안정훈 기자] 경기도가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임시 휴관 중인 사회복지 이용시설 1만1258곳에 대해 20일부터 단계적으로 운영을 재개한다고 16일 밝혔다.
대상은 ▲노인복지관 62곳 ▲경로당 9825곳 ▲카네이션하우스 46곳 ▲노인 주·야간 보호시설 939곳 ▲장애인복지관 37곳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137곳 ▲장애인직업재활시설 130곳 ▲종합사회복지관 82곳이다.
이번 조치는 폭염에 취약한 노인들을 위한 노인 무더위 쉼터 확보와 노인 돌봄 공백 방지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도는 설명했다. 앞서 지난 10일 중앙안전재난대책본부와 보건복지부는 각 지자체에서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사회복지 이용시설 운영 재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했다.
경기도는 각 시·군별로 방역관리가 완료된 시설부터 운영을 재개하도록 할 방침이다. 각 시·군별로 현재 운영 재개 시설에 대한 사전 점검이 실시 중으로 시설별 방역계획 수립, 방역관리자 지정·배치, 방역소독, 마스크·손세정제 등 방역물품 비치, 이용자 발열체크, 외부인 출입금지 등 방역수칙 이행 여부를 철저히 지킨 곳에 한해 운영을 할 수 있다.
운영 시작 후에도 단계별로 프로그램 등을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경기도는 먼저 1단계로 10명 이내 소규모 인원이 참석하는 실외 프로그램만 운영하도록 하고 2주 동안 이상이 없을 경우 2단계로 소규모 프로그램을 실내에서도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3단계는 현재 ‘심각’ 수준인 위기경보 수준이 ‘경계’로 조정될 경우에 해당하며 경로식당 등 시설 정상 운영이 가능하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격상될 경우 운영은 즉시 중단된다.
조태훈 경기도 노인복지과장은 “경로당 등 사회복지 이용시설을 운영 재개함으로써 취약계층의 돌봄, 복지서비스 공백을 최소화하고 폭염 피해를 예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 2월 3일 경로당 등 다중이용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휴관을 권고했으며, 현재까지 노인·장애인 이용시설 휴관율은 98%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