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춘 인천시장은 8일 "수도권매립지 4자 합의는 우려한 대로 서구 매립지를 영구화하는 것"이라며 "4자가 모여서 다시 합의를 맺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남춘 시장은 이날 제263회 인천시의회 1차 정례회 2차 본회의에서 "수도권매립지 종료 로드맵을 밝혀달라"는 인천시 의원들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박 시장은 "(4자 합의는 내가) 정치적으로 반대를 해왔기 때문에 과감히 종료할 구상을 갖고 환경부, 서울, 경기에 다시 합의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4자 합의는 2015년 유정복 전 인천시장이 당시 윤성규 환경부 장관과 박원순 서울시장,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맺은 4자 합의는 현실성이 없는 사문화된 조항이 많다고 보고 있다. 인천시는 4자 합의 내용 중 대체 매립지를 확보하지 못하면 잔여 부지를 사용할 수 있다는 조항이 독서 조항으로 사실상 매립지의 영구화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또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 인천시 이관과 지방공사 설립 등 실현 가능성이 없는 내용도 담겨 있다. 특히 폐기물의 안정적 처리를 위한 '직매립 제로화 추진 계획'을 2015년 말까지 수립하도록 했는데 역시 계획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
박 시장은 소각장 증설 의지도 피력했다. 박 인천시장 “수도권매립지를 2025년에 종료하는 것이 목표가 되어서는 안되며, 합리적 쓰레기 처리방안을 만들기 위한 정책전환이 더욱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매립지에 들어갈 쓰레기가 어떤 친환경적인 것인지, 얼마만큼 줄일 수 있는지를 고민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박 시장은 “쓰레기 반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서울시도 나름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서울시는 관내에 있는 5개의 소각장이 아닌 2~3배의 소각장이 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소각장 증·개설이 검토되고 있는 지역의 국회의원들이 명확한 반대입장을 내비치고 있고 지역의 반발도 예상돼 증설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에 대해 박 시장은 “소각장 없이 수도권매립지 폐쇄와 자원순환 선진화는 불가능하다”며 “정치적 불리함이 있어도 공론 과정과 설득 노력을 통해 해야할 일을 하겠다”고 단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