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태양⑤, “평화는 기본권 중의 기본권이다” 대한민국의 경제 규모는 전 세계에서 10위권을 넘나들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나라도 인류 공영과 세계평화에 기여할 수 있는 명실상부한 역할과 임무를 한국의 증대된 경제력에 상응하게 떠맡아야만 합니다. ‘책임국가’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야 합니다 2021-03-15 공희준
-
금천구, 평화·통일의 하모니 ‘날개’ 단원 20명 모집···온라인 합창으로 활동 금천구가 평화와 통일을 기원하는 온라인 합창단원을 모집한다. 금천구가 주민들의 평화 감수성 제고를 위한 ‘평화 날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평화 날개 온라인 합창단원 20명을 모집한다고 7일 밝혔다. ‘평화 날개 온라인 합창단’은 올해 7월부터 10월까지 평화·통일을 주제로 하는 합창곡을 전문가의 지도 아래 개... 2020-07-07 이유진
-
고하승① “손학규는 한반도 평화주의자이다” 정치로 돌아온 손학규의 목표는 대통령에 당선되는 게 더는 아니었습니다. 그는 좌파와 우파로 갈리고, 진보와 보수로 나뉘어 극단적 대결과 소모적 대치를 이어온 기존의 낡고 무능한 정치를 혁신하는 일을 자기의 소명으로 삼았습니다. 역대 대통령들마다 임기 말이나 퇴임 후에 불행한 결말과 맞닥뜨리는 권위주의적인 제왕적 대통령제에 마침표를 찍는 역할을 자신이 떠안을 과제로 설정했습니다 2020-07-02 공희준
-
북한 김여정, 남한을 차단하다 1인 1깡의 원조는 북한 ‘1일 1깡’은 길게는 김일성 전 주석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는 조금은 장황한 국호로 서울의 이승만 전 대통령처럼 평양에 단독정부를 수립했을 때부터, 짧게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부친인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에게서 정권을 물려받았을 시점부터 북한이 초지일관 과시해온 모습이었다. ... 2020-06-08 공희준
-
남경우③ “김대중은 야당 시절부터 독자적 통일방안 내놨다” 현재 남한에서 북한을, 통일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학자들의 숫자가 통틀어서 50명이 채 되지 않습니다. 이분들이 전공 공부를 집중적으로 했던 시기가 언제였느냐? 지금부터 최소한 20년도 더 이전인 때입니다. 당시는 북한을 공부하려면 국정원이나 그 전신인 국가안전기획부의 서슬 퍼런 관리감독을 받아야만 하는 세상이었습니다 2020-05-22 공희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