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국정감사] 軍, 3000억원치 수리부속품 10년간 창고에 묵혔다 서원호 기자 2020-10-15 14:07:22

김민기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김민기 의원실)우리 군이 10년 이상 사용하지 않고 창고에 쌓아둔 수리부속품이 무려 3000억원 상당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김민기 의원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10년 이상 미사용 수리부속 현황’에 따르면 우리나라 군이 10년 넘게 사용하지 않은 수리부속은 총 8만2358품목에서 174만5496여 점이다. 금액으로 치면 2971억3800만원 수준이다.

 

가장 많은 부품을 쌓아둔 곳은 해군이다. 해군은 4만3561개 품목, 85만6402점의 수리부속을 10년 간 사용하지 않았다. 금액으로 환산할 경우 2025억원 규모로, 육해공군을 다 합친 수에서 68%를 차지한다.

 

장기 수리수요가 발생하지 않은 해군의 대표적 장비는 해상초계기 ,복합레이더, 해상작전용 헬기, 잠수함 등이다.

 

공군은 3만4897개 품목, 77만9094점, 806억원 상당의 장기 미수요 수리부속을 보관했다. 대표적으로는 KF-16, F-4, F-5, F-15K, C-130 항공기의 수리부속인 것으로 확인됐다.

 

육군은 3900개 품목, 11만점, 140억원 가량의 장기 미수요 수리부속을 보관했다. 대표적으로는 T-80U전차, BMP-III장갑차, MLRS, M48A5전차, 시추기 장비의 부속수리다.

 

군이 보유한 수리부속품 자산 규모는 총 55만여 품목, 12조 원가량이며, 이 중 10년 이상 미사용 수리부속 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2.3% 수준이다. 

 

김민기 의원은 “장기미사용 수리부속이 발생하는 것은 매우 심각한 예산 낭비 문제”라고 지적하 며“더이상 국방비가 낭비되지 않도록 군은 수요예측의 정확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TAG
댓글
0개의 댓글

최신기사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